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21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는 얼마일까? (지구와 해의 거리, 태양과 지구의 거리) 지구와 태양과의 평균 거리는 1억 4960만 킬로미터입니다. 이 거리는 1천문단위(AU- Astronomical Unit )로 표기됩니다. 지구와 태양의 거리는 타원형 궤도를 따라 공전하기 때문에, 최소 1억 4700만 킬로미터에서 최대 1억 5210만 킬로미터까지 변화합니다. 지구에서 태양까지 빛이 도달하는 데는 약 8분이 걸립니다. 따라서, 지구와 태양의 거리는 빛의 속도로 약 8분을 이동해야 도달할 수 있는 거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와 태양의 거리는 태양계에서 가장 중요한 거리입니다. 이 거리를 기준으로 태양계의 다른 천체들의 거리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화성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의 약 2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24. 1. 11.
'울산' 지명은 무슨 뜻일까? (울산 지명 유래, 울산 이름 유래) 울산의 지명은 "울뫼나라"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울뫼나라는 "울타리로 둘러싸인 나라"라는 의미로, 울은 한국어의 옛말에서 울타리, 혹은 성(城)을 의미합니다. 고대 신라 시대에 울산 지역은 "우시산국(于尸山國)"으로 불렸습니다. 우시산국은 "산이 물처럼 둘러싼 나라"라는 의미로, 우(于)와 시(尸)가 합쳐져서 '울'이 되기 때문에 우리말 '우리(울, 울타리)'를 한자어로 표기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려 시대에 들어서면서 울산은 "울주(蔚州)"로 개칭되었습니다. 울주는 "산이 울처럼 둘러싼 주"라는 의미로, 울뫼나라의 뜻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1997년 7월 15일에 울산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었습니다. 울산광역시는 "울산 지역을 포함하는 광역시"라는 의미로, 울주에서 '주'.. 2024. 1. 11.
와이파이(Wi-Fi) 기술은 누가 만들었을까? (와이파이 만든 사람, 와이파이 발명가) 와이파이 기술의 원천 기술인 주파수 도약 확산(Spread Spectrum) 기술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유명 배우이자 공학자였던 "헤디 라마(Hedy Lamarr)" 가 1941년에 발명하였습니다. 헤디 라마는 19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배우로 활동하면서도 과학과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며, 1941년에 주파수 도약 확산 기술을 발명하여 특허를 취득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무선 통신에서 간섭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헤디 라마는 이 기술을 군사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하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사용되지는 않았습니다. 헤디 라마의 주파수 도약 확산 기술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와이파이 기술의 개발에 활용되었습니다. 와이파이 기술은.. 2024. 1. 11.
아들은 엄마의 지능을 물려받을까? 아들은 엄마의 지능을 물려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능은 유전과 환경의 복잡한 상호 작용의 결과입니다. 유전은 지능에 대한 약 40~60%의 기여를 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능을 담당하는 유전자는 주로 X 염색체에 위치합니다. 여성은 X 염색체가 2개이지만 남성은 X 염색체가 1개뿐입니다. 따라서 아들은 X 염색체를 엄마로부터만 물려받습니다. 이것은 아들이 엄마의 지능 유전자를 물려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아버지의 지능 유전자도 아들의 지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의 X 염색체는 아들의 X 염색체와 결합하여 Y 염색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지능에 대한 아버지의 유전적 영향은 엄마의 영향보다 적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환경도 지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영양, 교육,.. 2024. 1. 11.
사과를 깎아서 놓아두면 왜 색깔이 변할까? (사과 갈변이유, 갈변현상, 갈변방지 방법) 사과를 깎아서 놓아두면 색깔이 변하는 이유는 갈변현상 때문입니다. 갈변현상은 과일이나 채소의 표면이 산소와 접촉하면서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인해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사과에는 폴리페놀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폴리페놀은 과일의 색깔, 맛, 향 등을 내는 성분이지만, 산소와 접촉하면 갈변을 일으키는 성분이기도 합니다. 사과를 깎으면 폴리페놀이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인해 갈변이 일어나게 됩니다. 갈변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식초나 레몬즙을 뿌려주세요. 식초나 레몬즙에는 구연산이 들어 있어 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끓는 물에 담가주세요. 끓는 물에 담그면 폴리페놀의 산화반응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2024. 1. 11.
겨울철 도로에 블랙아이스는 왜 생기는걸까? 겨울철 도로에 블랙아이스가 생기는 이유는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면서 도로의 틈새로 스며든 눈과 습기가 얼어붙기 때문입니다. 낮 동안에는 햇빛에 의해 도로 표면이 따뜻해지면서 눈과 습기가 녹습니다. 하지만, 밤에는 기온이 내려가면서 녹았던 눈과 습기가 다시 얼어붙게 됩니다. 이때, 도로의 틈새로 스며든 눈과 습기가 얼어붙으면 얇은 얼음막이 형성됩니다. 이 얼음막은 매우 얇고 투명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도로가 얼어붙은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주행하다가 미끄러지는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블랙아이스는 도로의 어두운 부분, 특히 터널이나 교량 출입구, 그늘진 산악지역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지역은 도로의 온도가 낮아 블랙아이스가 생성되기 쉽습니다. 블랙아이스 사.. 2024. 1. 11.
'부산' 지명은 무슨 뜻일까? (부산 지명 유래, 부산 이름 유래) 부산의 지명은 크게 두 가지 설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설은 부산의 지명이 가마솥 모양의 산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동래부읍지(1757)에는 "부산은 동평현에 있다. 산이 가마솥 모양과 같아 이렇게 이름지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설에 따르면, 부산의 지명은 증산(甑山)의 모양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증산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산으로, 가마솥 모양의 산봉우리가 특징입니다. 두 번째 설은 부산의 지명이 부자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세종실록지리지(1454)에는 "부산포(釜山浦)는 동래현에 있다. 바다를 낀 해안에 산이 많아 '부(富)'자를 썼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설에 따르면, 부산의 지명은 부산포의 풍요로운 자연환경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부산포는 예로부터 바다.. 2024. 1. 11.
산천어는 회로 먹어도 안전할까요? 산천어는 회로 먹어도 안전합니다. 산천어는 연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연어과 물고기는 대부분 회로 먹어도 안전합니다. 산천어는 특히 살이 단단하고, 지방 함량이 높아 회로 먹기에 적합합니다. 다만, 산천어를 회로 먹을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1. 신선한 산천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산천어가 죽은 후 시간이 지나면, 내장과 살에 세균이 번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천어를 회로 먹을 때는 신선한 산천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산천어를 깨끗하게 손질해야 합니다. 산천어의 내장과 피를 깨끗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내장과 피에는 세균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깨끗하게 제거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산천어를 숙성시켜야 합니다. 산천어를 숙성시키면, 살이 부.. 2024. 1. 11.
다리(교량) 위에는 블랙아이스가 왜 더 잘생길까요? (블랙아이스 란, 블랙아이스 뜻, 블랙아이스 사고 예방법) 블랙 아이스는 도로 표면의 얇은 얼음막으로, 기온이 영상 4도 이하로 떨어지면서 눈이나 비가 얼어붙어 생깁니다. 다리 위에서는 블랙 아이스가 더 잘 생기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공기의 흐름 다리는 위 아래가 뚤려있어서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에 의해 도로 표면이 더 차가워집니다. 따라서, 다리 위에서는 도로 표면의 온도가 떨어져 블랙 아이스가 더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습기 다리 위는 바다나 강과 가까운 경우가 많아, 습기가 많습니다. 습기가 많으면 눈이나 비가 얼어붙기 쉽기 때문에, 블랙 아이스가 더 잘 생길 수 있습니다. 블랙 아이스는 도로 표면이 미끄러워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다리 위에서는 특히 블랙 아이스에 주의해야 합니다. 블.. 2024. 1. 11.
추운 지역은 왜 비가 더 자주 내릴까? (추운지방 비가 자주 내리는 이유) 추운 지역에서 비가 더 자주 내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대기 중의 수증기 함량이 높기 때문입니다. 공기가 차가워지면 수증기를 머금을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추운 지역에서는 대기 중의 수증기 함량이 높아지게 됩니다. 수증기 함량이 높으면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두 번째 이유는 대류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입니다. 대류는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서로 만나면서 일어나는 기상 현상입니다. 추운 지역에서는 지표면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대류 활동이 활발하면 구름이 형성되고,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구체적으로, 추운 지역에서 비가 자주 내리는 지역은 다음과 같은 곳입니다. 고위도 지역 고위도 지역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 2024. 1. 10.
망원경은 누가 발명했을까? (망원경 발명자, 만든사람) 망원경의 최초 발명자는 네덜란드의 안경 제작자 "한스 리퍼세이(Hans Lippershey)"로 알려져 있습니다. 1608년, 그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조합하여 먼 곳의 물체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리퍼세이의 발명은 당시 유럽 전역에 알려져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리퍼세이의 발명을 계기로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 관측에 사용했습니다. 그는 망원경을 사용하여 달의 표면, 목성의 위성, 토성의 고리 등을 발견했습니다. 갈릴레이의 천문학적 발견은 당시의 천문학 지식을 혁신적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이후, 망원경은 계속해서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우주를 관측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망원경의 최초 발명자는 한스 리퍼세이이지만, 천문학적으.. 2024. 1. 10.
기면증이란 무엇일까? (기면증 뜻 원인 증상 치료) 기면증은 낮 시간에 갑자기 졸음에 빠지는 수면장애입니다. 야간에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낮에 심하게 졸리며, 의지와 상관없이 졸음에 빠질 수 있습니다. 또한,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 환각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면증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의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히포크레틴(hypocretin)"의 결핍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포크레틴은 각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히포크레틴이 부족하면 각성 유지 기능이 떨어져 기면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면증은 청소년기부터 발병할 수 있으며, 남녀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면증의 증상이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기면증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행동치료가 ..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