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사회-문화316

대한민국 남자, 여자 평균 키는 얼마일까? (한국 평균키) 2022년 3월 30일 국가기술표준원이 발표한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평균 키는 남성의 경우 172.5cm, 여성의 경우 159.6cm입니다. 이는 1979년 제1차 조사 때 남성 166.1cm, 여성 154.3cm에 비해 남성은 6.4cm, 여성은 5.3cm 증가한 수치입니다. 남성 가장 키가 큰 지역: 서울 (174.6cm) 가장 작은 지역: 전남 (168.9cm) 여성 가장 키가 큰 지역: 서울, 경기 (161.5cm) 가장 작은 지역: 전남, 경북 (156.0cm) 남성은 서울이 가장 키가 크고, 전남이 가장 작았습니다. 여성은 서울과 경기도가 가장 키가 크고, 전남과 경북이 가장 작았습니다. 이러한 한국인의 평균 키 증가는 경제 발전과 더불어 영양 상태의 개선, .. 2024. 1. 14.
국회의 '여당' 과 '야당'은 어떻게 구분할까? (여당과 야당 뜻, 차이, 한자, 여야, 현재 우리나라 대한민국 여당 ) 여당(與黨)과 야당(野黨)은 정권의 성격에 따라 구별됩니다. 여당의 여(與)는 '같을 여'자를 쓰고 있습니다. 야당의 야(野)는 '들 야', 자를 쓰고 있습니다. 야(野)는 '문밖' 과 '성 밖'의 뜻도 있습니다. 여당은 정권과 같은 정당, 야는 정권을 잡고 있는 문밖의 정당으로 외우시면 쉽게 기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여당은 정권을 잡고 있는 정당을 의미하고, 야당은 정권을 잡고 있지 않은 정당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여당은 대통령이 속한 정당이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통령은 국가의 최고 통수권자로서, 행정부의 수반을 맡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통령이 속한 정당은 행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권한을 갖게 됩니다. 반면, 야당은 정권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정당입니다. 야당은 입.. 2024. 1. 14.
교도소와 구치소는 어떻게 다를까? (교도소 구치소의 차이) 교도소(矯導所)와 구치소(拘置所)는 모두 범죄자를 수용하는 시설이지만, 그 성격과 기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교도소는 형이 확정된 수형자를 수용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교도소에 수용된 수형자는 이미 재판을 통해 유죄 판결을 받고 형이 확정된 상태입니다. 교도소의 주된 목적은 수형자의 신체적 자유를 제한하고, 사회로부터 격리하여 재범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또한, 수형자의 건전한 사회 복귀를 위한 교육과 교화를 실시합니다. 구치소는 형이 확정되지 않은 미결수와 형기가 1년 미만인 재소자를 수용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구치소에 수용된 수형자는 아직 재판을 통해 유죄 판결을 받지 않은 상태입니다. 구치소의 주된 목적은 수형자의 도주를 방지하고, 재판을 공정하게 진행하기 위한 것입니다. 구체적인 차이점을.. 2024. 1. 14.
'가결'과 '부결'은 무슨 뜻일까? (가결 부결 뜻, 가결의 뜻, 부결의 뜻) '가결(可決)'은 회의에서 제안된 어떤 문제나 안건을 적절한 절차를 거쳐 찬성하여 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可決'이라는 한자어로 쓰이며, '可'는 '할 수 있다'는 뜻이고, '決'은 '결단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가결'은 '결단할 수 있다'는 뜻으로, 안건이 통과되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국회에서 법안이 가결되었다."는 말은 "국회에서 제안된 법안이 적절한 절차를 거쳐 찬성하여 결정되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부결( 否決)'은 안건이 통과되지 아니한 것을 의미합니다. '否決'이라는 한자어로 쓰이며, '否'는 '아니다'는 뜻이고, '決'은 '결단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부결'은 '결단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안건이 통과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2024. 1. 14.
'RE100' 은 무엇일까? (RE100 이란?, RE100 뜻) RE100은 "Renewable Electricity 100%"의 약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글로벌 캠페인입니다. 2014년 The Climate Group과 CDP가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현재 전 세계 360여 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RE100에 참여하는 기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생에너지를 사용합니다. 자체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하거나 운영합니다.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에게 전기를 직접 구매합니다.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하여 사용합니다. RE100은 기업이 기후 변화 대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RE100에 참여하는 기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 2024. 1. 14.
'각골난망'은 무슨 뜻일까? '각골난망'은 "뼈에 새겨 잊지 않는다"는 뜻의 한자성어입니다. 각골난망 (刻 새길 각, 骨 뼈 골, 難 어려울 난, 忘 잊을 망)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사무칠 정도로 깊어 잊혀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각골'은 '뼈에 새긴다'는 뜻이고, '난망'은 '잊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각골난망'은 '뼈에 새겨서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이 베푼 은혜에 대한 고마움을 마음속 깊이 간직하고 있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의 은혜는 각골난망합니다."라고 하면, "선생님의 은혜를 뼈에 새겨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의미의 한자성어로는 '백골난망'이 있습니다. '백골난망(白骨難忘)'은 "죽어서 뼈가 되어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각골난망'과 비슷한 뜻.. 2024. 1. 14.
가족관계증명서란 무엇일까? 가족관계증명서는 대한민국 국민의 가족관계를 증명하는 공적 문서입니다. 본인, 배우자, 부모, 자녀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출생지, 혼인등록번호, 사망일 등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합니다. 혼인, 입양, 사망 등 가족관계의 변동을 신고할 때 해외 출국, 유학, 취업, 이민 등 해외에서의 신분 확인을 위해 금융거래, 부동산 거래, 보험 가입 등 법률관계의 형성을 위해 상속, 증여 등 민사관계의 증명을 위해 가족관계증명서는 전국의 모든 시·군·구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수수료는 1000원입니다. 가족관계증명서를 발급받으려면 본인 또는 대리인의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대리인의 경우, 본인의 신분증과 위임장도 함께 제출해야 합.. 2024. 1. 14.
우리나라 대통령 임기는 몇 년일까? (한국 대통령 임기, 대한민국 대통령 임기기간, 대통령 임기 5년) 대한민국 대통령의 임기는 5년입니다. 1987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의 임기가 5년 단임제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대통령은 한 번 당선되면 5년 동안 재임할 수 있으며, 중임할 수 없습니다. 대통령의 임기는 1월 1일부터 시작되며, 임기 만료일은 5년 후의 12월 31일입니다. 따라서, 현재 대통령인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는 2022년 5월 10일부터 2027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대통령의 임기가 5년 단임제로 변경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기집권을 방지하고,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정권교체를 제도화하기 위함입니다. 대통령의 책임성을 높이고, 국민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함입니다. 5년 단임제는 대통령의 권한을 적절히 견제하고,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24. 1. 14.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무슨 뜻일까? (가스라이팅 이란?, 가스라이팅 뜻, 유래)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가스라이팅은 1938년 패트릭 해밀턴 작가가 연출한 스릴러 연극 '가스등(Gas Light)'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연극에서 남편은 아내의 정신을 붕괴시키기 위해 집안의 가스등을 끄고는 아내에게 자신이 끄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아내는 점점 자신의 기억과 판단력을 의심하게 되고, 결국 남편에게 의존하게 됩니다. 가스라이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사건이나 상황을 부정하기 가해자는 피해자가 경험한 사건이나 상황을 부정하거나 왜곡합니다. 예를 들어, 피해자가 괴롭힘을 당했다고 말하면, 가해자는 피해자가 과민 반응을 보인다고 말합니다. 피해자의 기억이나 .. 202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