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PER·PBR? 초보도 알 수 있는 주식 수익률 지표 완전정리

by 모두의 궁금증 2025. 5. 20.

PER·PBR? 초보도 알 수 있는 주식 수익률 지표 완전정리

“PER이 낮으면 좋은 건가요? PBR은 또 뭐죠?”

친구와 주식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꼭 나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이 회사 PER이 낮아서 괜찮아 보여”, “PBR이 너무 높네”라는 말을 들었지만, 정확한 의미는 모르고 넘어간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PER과 PBR은 주식 투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재무 지표입니다.
하지만 뜻만 외워서는 안 되고, 어떻게 해석하고 실제 투자에 활용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PER과 PBR의 개념, 계산법, 해석 방법, 투자 시 유의점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 PER (Price Earnings Ratio) – 주가수익비율

✔ PER이란?

PER = 현재 주가 ÷ 주당순이익(EPS)
쉽게 말하면, "현재 주가가 이익의 몇 배냐"를 나타냅니다.

항목 설명
PER 10 이익의 10배 가격에 거래 중
PER 5 이익 대비 가격이 저렴함 (저평가)
PER 30 이익 대비 가격이 비쌈 (고평가)
 

✔ 예시로 이해하기

  • A회사: 주가 50,000원 / EPS 5,000원 → PER = 10
  • B회사: 주가 100,000원 / EPS 2,000원 → PER = 50

PER이 낮은 A회사가 더 저렴하게 보일 수 있지만, 무조건 낮다고 좋은 건 아닙니다.
회사의 성장성, 업종 특성, 경쟁력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PER 해석 팁

  • PER 낮음 = 저평가 가능성 or 성장성 부족
  • PER 높음 = 고평가 or 고성장 기대

🧪 참고 연구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는 가치 투자 전략에서 PER이 낮은 기업이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인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단, 업종에 따라 평균 PER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 대상은 동일 산업 내에서 선택해야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 PBR이란?

PBR = 현재 주가 ÷ 주당순자산(BPS)
PBR은 회사의 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항목 설명
PBR 1.0 자산 가치와 동일한 수준의 주가
PBR 0.5 자산 대비 저평가
PBR 2.0 자산 대비 고평가

✔ 예시로 이해하기

  • C회사: 주가 20,000원 / BPS 10,000원 → PBR = 2.0
  • D회사: 주가 5,000원 / BPS 10,000원 → PBR = 0.5

PBR이 낮다는 건 회사의 청산 가치보다도 주가가 낮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회사의 미래 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죠.

✔ PBR 해석 팁

  • PBR 1 이하: 저평가 가능성 (단, 부실기업일 수도 있음)
  • PBR 1 이상: 시장 기대 반영된 주가

📚 실전 예시
2020년 코로나19 당시, 항공·여행 업종의 PBR이 0.3~0.6까지 떨어지며 "헐값"으로 평가받았던 기업들이 이후 회복세를 타면서 큰 수익률을 보여준 사례도 있었습니다.


🧠 PER vs PBR 한눈에 비교

구분 PER PBR
의미 이익 대비 주가 자산 대비 주가
기준 주당순이익(EPS) 주당순자산(BPS)
저평가 기준 PER 낮을수록 PBR 1 미만
유의사항 성장성 반영 필요 청산가치 기준 가능성
 

🔍 투자 시 활용 꿀팁

  • PER과 PBR은 단독으로 쓰기보다 함께 보거나, ROE(자기자본이익률)와 결합해서 해석하면 좋습니다.
  • PER은 성장주 분석에, PBR은 가치주 분석에 자주 활용됩니다.
  • 무조건 수치만 보지 말고, 같은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며 판단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마무리

PER과 PBR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투자 판단의 기준이 되는 '지표'입니다.
이제 PER이 낮다거나 PBR이 1 미만이라는 말에 더 이상 당황하지 않아도 됩니다.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이해하고 비교하는 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