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과학

겨울철에는 왜 아침 해가 늦게 뜰까?

by 모두의 궁금증 2024. 1. 3.

 

겨울에 아침 해가 늦게 뜨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 궤도와 지구의 자전축의 경사각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타원형의 궤도로 공전하고 있으며, 궤도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지구가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 있을 때를 근일점, 가장 멀리 있을 때를 원일점이라고 합니다. 

지구가 근일점에 있을 때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빛의 양이 많아져서 낮의 길이가 길어지고, 반대로 원일점에 있을 때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빛의 양이 적어져서 낮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여름에는 지구의 북반구가 태양을 향하고, 겨울에는 지구의 남반구가 태양을 향합니다.

따라서 여름에는 북반구에서 낮이 길어지고 밤이 짧아지며, 겨울에는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집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태양의 적도면과 약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지구의 어느 지역이든 일 년 중 절반은 태양의 빛을 많이 받고, 절반은 태양의 빛을 적게 받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우리나라가 태양의 빛을 적게 받게 되므로 낮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그 결과 아침 해가 늦게 뜨게 됩니다.

 

반응형


서울의 경우, 2024년 1월 3일 오전 7시 54분에 해가 뜨고, 12월 22일인 동지에는 오전 8시 46분에 해가 뜹니다. 따라서 동지에는 해가 뜨는 시간이 42분이나 늦어집니다.

겨울철에 아침 해가 늦게 뜨는 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북반구의 모든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반대로, 여름철에는 우리나라가 태양의 빛을 많이 받게 되므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고, 그 결과 아침 해가 일찍 뜨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