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의원 관련정보

“간호사 이력서만 보고 채용했다가 문제가 생겼습니다…” (의료인력 채용 시 꼭 확인해야 할 법적 조건)

by 모두의 궁금증 2025. 6. 13.

 

🩺 “간호사 이력서만 보고 채용했다가 문제가 생겼습니다…”

“의사 면허증은 있었는데, 알고 보니 자격정지 상태였어요.”
“간호조무사를 채용했는데 실제 자격증 등록이 안 돼 있었더라고요.”
“알바 약사를 썼는데 이중 근무였다는 걸 뒤늦게 알았어요…”

 

의료인 채용 과정에서 단순히 이력서와 자격증 사본만 보고 채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자칫하면 의료법 위반, 불법의료 행위 방조, 과태료 및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오늘은 병원에서 의료인을 채용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법적 조건과 실무 체크포인트를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 의료인 채용 시 필수 확인 사항 총정리

 

항목확인  대상 법적 근거 확인 방법
1. 면허 유효성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약사 등 의료법 제8조, 약사법 제5조 보건복지부 면허 확인 시스템 (https://lic.mohw.go.kr)
2. 자격 정지 이력 자격정지, 면허취소 이력 의료법 제66조 면허 조회 시 과거 행정처분 이력 확인 필요
3. 보건의료인력 신고 채용 후 30일 이내 인력신고 필수 의료법 제33조의3 보건의료인력통합신고포털 이용 (https://hrportal.kohi.or.kr)
4. 이중 근무 여부 약사, 간호조무사 등 파트타임 겸업 약사법 제21조 직접 고지 요청 또는 근무지 확인 필요
5. 외국인 의료인 여부 외국의사·간호사 의료법 제5조 국내 면허 인정 및 보건복지부 장관 허가 여부 확인
 

 

⚠️ 놓치기 쉬운 3가지 법적 리스크

1. 자격 없는 인력에게 진료보조를 맡긴 경우

의료법 제27조 위반
→ 최대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가능

2. 간호조무사에게 불법 채혈 또는 주사 행위 지시

→ 환자에게 문제가 생길 경우 병원장에게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

3. 채용 후 신고 누락

과태료 최대 300만 원 부과
→ 의료기관 인증평가 시 감점 요소

 


 

🗂 실제 사례로 보는 채용 실수와 처벌

사례 1. 면허취소된 간호사 채용

서울 A의원은 과거 마약류 처벌로 면허취소된 간호사를 이력서와 자격증 사본만 보고 채용.
→ 환자 부작용 발생 후 소송에 휘말림
→ 병원장 과실 인정, 배상금 3천만 원

사례 2. 무면허 침술을 맡긴 비의료인

B한의원은 경력직으로 소개받은 보조 인력에게 침 시술을 맡김.
→ 단속 적발 후 의료법 위반으로 병원장 벌금 1,000만 원 선고

 


 

🧾 병원 인사 담당자를 위한 실무 체크리스트

항목 확인 방법
면허 유효성 확인 보건복지부 면허 확인시스템 로그인 후 이름/면허번호 조회
자격증 실물 확인 원본 스캔 후 HR 파일 보관
채용 전 서약서 작성 “타 병원과 이중 근무 중이 아님” 명시된 서류 제출
인력 신고 채용 후 30일 이내 보건의료인력통합포털에서 등록
교육 이수 확인 간호조무사 등은 보수교육 이수 여부 확인 필요
 

 

📚 참고 법령 요약

법률명 관련 조항
의료법 제8조 (면허), 제27조 (무면허 의료행위 금지), 제33조의3 (인력 신고)
약사법 제5조 (약사 자격), 제21조 (근무지 등록)
개인정보보호법 채용 시 개인정보 수집 및 보관 주의사항 포함
 

 

✅ 결론 – “채용 시 실수는 곧 병원의 책임으로 돌아옵니다”

요즘은 병원 내 사고가 발생하면 환자보다 병원 책임이 더 크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특히, “채용 과정에서의 검증 부족”은 법적으로도 병원의 과실로 인정되기 쉽습니다.

이제는 경력보다 면허 상태, 자격 증명, 신고 여부를 우선으로 검토해야 할 시대입니다.
철저한 사전 확인만이 병원을 보호하고, 의료분쟁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