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시장가 vs 지정가, 주식 주문할 때 꼭 알아야 할 차이점

by 모두의 궁금증 2025. 5. 20.

시장가 vs 지정가, 주식 주문할 때 꼭 알아야 할 차이점

 

🧾 “주문할 때 '시장가'로 할까요, '지정가'로 할까요?”

주식 거래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시장가’ 주문과 ‘지정가’ 주문입니다.
매수/매도 버튼을 누르기 전, 이 두 가지 옵션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한 적 있으시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장가와 지정가의 개념 차이, 실제 주문 시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 초보자가 알아야 할 활용 팁까지
예시 중심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시장가' 주문이란?

**시장가 주문(Market Order)**은
현재 시장에서 형성된 가장 유리한 가격에 즉시 거래를 체결해 주세요”라는 의미입니다.

📌 즉,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체결 우선으로 주문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 빠르게 체결됨
  • 시세를 빠르게 따라갈 수 있음

✅ 단점

  • 예상보다 비싸게 사거나, 싸게 팔 수 있음
  • 특히 급등/급락장에서는 체결 가격의 변동 폭이 클 수 있음

✔ 예시

  • 현재가: 10,000원
  • 시장가 매수 주문 → 10,050원에 체결될 수 있음 (호가에 따라)

✅ '지정가' 주문이란?

**지정가 주문(Limit Order)**은
이 가격 이상은 안 돼요! 내가 지정한 가격에만 사고/팔고 싶어요”라는 주문 방식입니다.

📌 내가 원하는 가격을 직접 입력해서 주문을 넣습니다.

✅ 장점

  • 내가 원하는 가격에 사고팔 수 있음
  • 예상 수익률, 손실을 통제하기 쉬움

✅ 단점

  • 원하는 가격이 아닐 경우 체결되지 않고 대기 상태로 남을 수 있음

✔ 예시

  • 현재가: 10,000원
  • 9,800원에 지정가 매수 주문 → 주가가 9,800원 이하로 내려와야 체결됨

📊 시장가 vs 지정가 비교표

항목 시장가 주문 지정가 주문
체결 속도 매우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가격 통제 불가능 가능
위험성 급등/급락 시 불리할 수 있음 미체결 위험 존재
초보자 추천 급한 거래 시 사용 일반적으로 추천
 

 


📚 실전 활용 팁

  1. 변동성이 큰 장에서는 지정가가 더 안전
    → 시장가 주문 시 예상보다 크게 손해 볼 수 있음
  2. 공모주 상장일, 장 시작 직후엔 시장가 주의
    → 체결 우선이지만, 가격 왜곡 발생 가능
  3. 중·장기 투자자는 지정가 주문이 안정적
    → 계획적인 매수·매도가 가능

🧠 과학적 연구 인용

미국 시카고대학교 금융학 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시장가 주문은 단기 매매에서 평균 체결률이 높지만,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손실 위험도 함께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지정가 주문을 통해 손익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이 장기 수익률에 더 유리하다는 분석도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 마무리 요약

선택 상황 추천 주문 방식
빠른 체결이 중요할 때 시장가
가격을 통제하고 싶을 때 지정가
장 초반 급등락 예상 시 지정가 우선 고려
중장기 투자자 지정가 중심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