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사회-문화

태극기 게양법은 어떻게 될까? (태극기 게양법, 국기 게양법, 3.1절 태극기 다는법, 삼일절 태극기 게양법, 삼일절 태극기 다는법, 3월1일 국기 다는법, 삼일절 태극기 게양시간)

모두의 궁금증 2024. 2. 28. 09:49

1. 게양 방식

  • 일반 게양: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합니다.
  • 조기 게양: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깃면의 너비(세로)만큼 내려 게양합니다.

 

2. 게양하는 날

  • 일반 게양:
    • 3.1절 (3월 1일)
    • 제헌절 (7월 17일)
    • 광복절 (8월 15일)
    • 국군의 날 (10월 1일)
    • 개천절 (10월 3일)
    • 한글날 (10월 9일)
    • 기타 정부에서 지정한 날
    • 평소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게양하는 날
  • 조기 게양:
    • 현충일 (6월 6일)
    • 국장 기간
    • 국민장 및 정부지정일
    • 국가원수의 서거
    • 국가 재난 발생 시

 

반응형

 

3. 게양 시간

태극기 게양 시간은 일반적으로 아침 7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하지만, 계절에 따라 다음과 같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11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 오후 5시까지 게양합니다.
야간에도 태극기를 게양하고 싶을 경우: 조명 시설을 설치하여 깃면을 밝히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 및 군부대: 교육적인 목적을 고려하여 낮에만 게양합니다.

 

참고 사항:
눈, 비, 바람 등으로 태극기가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게양하지 않습니다.
국경일이나 특별한 행사가 있는 경우에는 게양 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태극기를 게양할 때에는 항상 깨끗하고 다림질이 잘 된 국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국기를 게양하고 강하할 때에는 경의를 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의미

  • 일반 게양: 대한민국의 건국과 자주성을 기리는 의미
  • 조기 게양: 국가에 애도를 표하고 희생을 기리는 의미

 

5. 주의 사항

  • 일반 게양: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벌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조기 게양: 깃면의 너비만큼 정확하게 내려 게양합니다.
  • 국기를 게양할 때에는 깨끗하고 다림질이 잘 된 것을 사용합니다.
  • 국기를 게양하고 강하할 때에는 경의를 표합니다.

 

일반게양 방식

 

 

조기게양 방식